top of page
2.JPG

Palimpsest

LEE, Soo Kyoung

Apr.25 - Jun. 15 2024

부산 해운대 달맞이 고개에 위치한 어컴퍼니에서는 파리와 브뤼셀, 서울을 오가며 종횡무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수경 작가의 개인전 [팔림세스트 Palimpsest]를 준비했다.

전시 제목인 ‘팔림세스트 Palimpsest  ‘는 ‘이미 적힌 글씨를 긁어내거나 씻어내는 행위’를 뜻하는  라틴어로 이미 글이 쓰여져 있는 양피지 위에 글을 지우거나 긁어내고 다시 다른 글을 덧씌워 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글 위에 다른 글을 쓰는 과정에서 이전 글들은 그에 영향을 받게 되고 글과 글이 겹쳐져 가는 과정에서 풍부한 의미가 발생한다.

이수경 작가가 작품을 대하는 태도와 작품을 제작하는 행위,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작품의 특징은 ‘팔림세스트’의 의미와 상당히 닮아있다. 작가는 순간순간의 직감과 끊임없는 관찰 하에 여러 행위들을 쌓아가며 형상들을 만들어내고 또 지워내며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완성된 작품이 다시 지워지고 겹쳐지며 여러 레이어들이 쌓이면, 배경이었던 색과 형상이 주인공으로 변하기도 하고 다시 그 위에 새로운 형상들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평면 속에서의 이 레이어들은 무한한 깊이와 반복된 시간과 율동을 만들어 낸다.

Lee Soo-kyoung is an artist who is active in Paris, Brussels, and Seoul, and will hold a solo exhibition [Palimpsest] at the company located on the Dalmaji Hill in Haeundae, Busa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Palimpsest’ is a Latin word, means ‘Action of scraping or washing away the writing that has already been written’. It means ‘Erase or scratch the writing on the parchment paper on which the writing is already written and then rewrite another writ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another article on top of the text, previous texts are influenced, and rich meaning is born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text.

 

Lee Soo-kyoung's attitude toward the work, the act of producing the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s a result are quite similar to the meaning of "Palimpsest."

Through her instantaneous intuition and constant observation, she builds, shapes, and erases various actions to produce results. When several layers are stacked as the finished work is erased and overlapped again, the background color and shape may turn into the main character or new shapes may be created on it again. In a plane, these layers produce infinite depth, repetitive time, and rhythm.

H Lucirole 5_acrylic on canvas_200x160cm

H Lucirole 4 _ 200x160cm _ acrylic on canvas _ 2022

작품의 강렬하고 세련된 색감은 이수경 작가의 작품을 처음보는 작가들에게도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미술전공자들의 관점에서 다소 생소한, 전혀 사용하지 않는, 아니 오히려 시도해보지도 생각해보지도 않을법한 색의 조합을 과감하게 사용한다. 그런 색의 조합 때문인지 그녀의 작품은 우리에게 아주 낯선 경험을 제공한다. 다섯 번 이상 매끄럽게 겹쳐진 단색의 바탕 위에 서로 보색을 이루고 있는 띠의 다발들 혹은 선들은 강렬한 색의 대비효과를 이루고 있고, 서로 얽히고설킨 그 색띠들은 캔버스 위에서 무한한 공간감과 입체감을 만들어 낸다. 단숨에 한 터치 한 터치를 과감하게 그어나가는 붓질의 레이어는 그녀의 행위자체가 작품을 완성해 나가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작가의 모든 제스처는 그림을 구성하고 신체와 그림 사이를 끊임없이 이동하며 하나하나의 레이어를 만들어간다. 그 결과 레이어와 레이어 속에서 적당한 긴장감과 휴식의 균형을 찾아내며, 결국 그녀의 이러한 자취는 치열한 의식작용의 결과물임을 나타낸다. 작가의 작품은 그림에 대한 표현을 찾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캔버스 위에 존재하며, 관람자로부터 상상력을 자극시켜 그것을 보는 사람의 시선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번 전시는 2021년 ‘아트부산’ 아트페어에서 어컴퍼니의 솔로 부스 이후 부산에서 개최되는 첫번째 개인전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부산에서 약 일주일정도 머물며 작업한 이수경 작가만의 드로잉이 담긴 아티스트 에디션 티테이블 ‘Mushroom series’를 새롭게 선보인다.

Artists who are new to Lee Soo-kyoung's work are very attracted to the powerful and sophisticated colors of her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art majors, she boldly uses a combination of colors that are unfamiliar and that they never use or intend to try. Such a combination of colors provides us with a very unfamiliar experience. On the background of solid colors that are smoothly overlapped more than five times, bundles or lines of complementary colors form a strong color contrast effect, and the tangled colored bands create an infinite sense of space and three-dimensionality on the canvas. 

The layer of brush stroke that draws boldly at o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completing the work. All of her gestures constantly move between the body and the painting and create layers one by one. As a result, it finds an appropriate balance of tension and rest between the layers, and in the end, it indicates that her traces are the result of fierce consciousness. Lee Soo-kyoung's work does not seek an expression for a painting, but exists on a canvas in itself, and is created by the viewer's gaze by stimulating imagination from the viewer.

This exhibition is Lee Soo-kyoung's first solo exhibition in Busan after ac company's solo booth at the Art Busan in 2021.
Lee Soo-kyoung's new artist edition, "Mushroom Series," was produced by her own while staying in Busan for a week.

_L4A8159.jpg

부산 해운대 달맞이 고개에 위치한 어컴퍼니에서는 파리와 브뤼셀, 서울을 오가며 종횡무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수경 작가의 개인전 [팔림세스트 Palimpsest]를 준비했다.

전시 제목인 ‘팔림세스트 Palimpsest  ‘는 ‘이미 적힌 글씨를 긁어내거나 씻어내는 행위’를 뜻하는  라틴어로 이미 글이 쓰여져 있는 양피지 위에 글을 지우거나 긁어내고 다시 다른 글을 덧씌워 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글 위에 다른 글을 쓰는 과정에서 이전 글들은 그에 영향을 받게 되고 글과 글이 겹쳐져 가는 과정에서 풍부한 의미가 발생한다.

이수경 작가가 작품을 대하는 태도와 작품을 제작하는 행위, 그리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작품의 특징은 ‘팔림세스트’의 의미와 상당히 닮아있다. 작가는 순간순간의 직감과 끊임없는 관찰 하에 여러 행위들을 쌓아가며 형상들을 만들어내고 또 지워내며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완성된 작품이 다시 지워지고 겹쳐지며 여러 레이어들이 쌓이면, 배경이었던 색과 형상이 주인공으로 변하기도 하고 다시 그 위에 새로운 형상들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평면 속에서의 이 레이어들은 무한한 깊이와 반복된 시간과 율동을 만들어 낸다.

Lee Soo-kyoung is an artist who is active in Paris, Brussels, and Seoul, and will hold a solo exhibition [Palimpsest] at the company located on the Dalmaji Hill in Haeundae, Busa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Palimpsest’ is a Latin word, means ‘Action of scraping or washing away the writing that has already been written’. It means ‘Erase or scratch the writing on the parchment paper on which the writing is already written and then rewrite another writ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another article on top of the text, previous texts are influenced, and rich meaning is born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text.

 

Lee Soo-kyoung's attitude toward the work, the act of producing the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s a result are quite similar to the meaning of "Palimpsest."

Through her instantaneous intuition and constant observation, she builds, shapes, and erases various actions to produce results. When several layers are stacked as the finished work is erased and overlapped again, the background color and shape may turn into the main character or new shapes may be created on it again. In a plane, these layers produce infinite depth, repetitive time, and rhythm.

H BI Vert M_acrylic on canvas_80x100cm_2022.JPG

H BI Vert M_ 80x100cm _ acrylic on canvas _ 2022

나의 행위는 익숙한 제스처의 반복이 아니라 한 순간순간의 직감으로 나오는 흔적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첫 단계의 시작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나는 끊임없이 관찰하고 또한 변형시키고

행위에 행위를 겹치고 다른 형태를 덧붙이며 쉴 새 없이 캔버스를 드나든다. 바로 이러한 단계를

거쳐서 천천히 형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나의 시각과 행위의 쉴 새 없는 왕복은 어떠한 특정한 의지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행위들은 캔버스의 평면이 주는 범위에 대한 인식, 그 구조, 비율 등을 고려하며 조형화되어 간다. 미리 구축한 선험적 생각으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대하지 않고 상상하지 않은, 일상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그러한 영역들을 발견하며 하나하나

찾아가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형상이라는 것은 특정한 이름을 가질 수 있는 그런 형태들이 아니다. 나의 작품에 드러나는 형상들은 확실한 색깔들로 간혹 대조적이기도 조화롭기도 두껍기도 하고

얇게 칠해지기도 하는 그런 조형적 조직체들이다. 마치 평면에 붙은듯하기도 하고 꼭 걸어놓은 것

같기도 한 이러한 형상들은 서로 함께 어우러지기도 하고 부딪히기도 하면서 패러독스를 형성하지만, 한 평면에서 서로 함께 존재하고자 한다. 이렇게 많은 의문의 순간들이 쌓이며 하나하나의 작품이 완성되어 간다. 즉 나의 작품은 문제를 던지는 것이지 한 방향의 해답을 주지는 않는다.

이  전시를 통해 끊임없는 의문들을 품고 바라보는 타인의 시각과 함께 그 의구심을 나누고 

소통해 보고 싶다.

​- 파리에서, 작가 노트 중

​​My actions are not repetitions of familiar gestures, but traces that come out of my gut every moment. But the beginning of this first step is not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 constantly observe, transform, overlap actions, add different forms to actions, and constantly come and go on the canvas. Through these steps, the shapes slowly begin to appear. 

The constant round trip of my beginnings and actions is not accomplished by a specific will. These actions are being shaped in consideration of the perception, structure, and ratio of the range of the canvas plane. Rather than proceeding with a pre-constructed idea that you can know without experiencing it, it is to find such area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in everyday language that is not expected and imagined.

The aforementioned shapes are not those that can have a specific name. The shapes revealed in my work are formative structures in which clear colors are contrasted or harmonized, painted thick or thin. The shapes may be attached to a plane or hung tightly. They blend in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form a paradox, but they want to exist together on one plane.

As so many questionable moments accumulate, each work is completed. My work is to throw questions, not to give a one-way answer. Through this exhibition, I want to share and communicate my doubts with the perspective of others who constantly question and look at them.

​-From Paris, Artist note

Exhibition view

Photo by Park Sangyo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