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컴퍼니에서는 부산을 거점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이창진 작가의 개인전 [빈 종이]를 선보인다.
이창진의 작업은 ‘쓸모를 다하고 버려진 것들’에서 시작된다. 작가는 주택가 폐기물, 아파트 수거장, 중고마켓 플랫폼 등을 통해 병풍, 족자, 액자 수백여 점을 수집하였다. 더 이상 집안의 벽면에 걸리지 못하고, 미술시장에서의 가치를 상실한 채 버려지거나 밀려난 그림들이 작업의 재료가 된다.
익명의 원작자들이 그린 산수화와 화조도 등은 작가의 손에 의해 오려지고 분해되며, 콜라주 형식의 새로운 이미지로 재조합된다. 이는 단순한 재활용이나 수집을 넘어 미술사 바깥으로 밀려난 이미지들에 대한 재서술이다.
작가는 이 일련의 작업을 《통계학적 미술사》라고 명명하였다, 중심이 아닌 주변에 남아 기록되지 못하고 잊혀진 다수의 이미지를 추적하고, 그렇게 상실된 가치와 시간의 흔적을 현재로 소환하였다.
특히, 수집된 모든 이미지를 화조도, 산수화 등 동양화의 형태로 재구성하며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종이조차 남김없이 소진 시킨다. 무엇 하나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이러한 작업 태도는 단지 창작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현대 사회의 환경 문제와도 깊이 맞닿아 있다. 자원의 순환인 업사이클링(Upcycling)은 미술계를 비롯해 전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의제이다. 이창진 작가의 작업은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서, 폐기된 이미지들의 문화적, 미적 가치까지 회복시키는 지속 가능한 예술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전시 [빈 종이]에서는《통계학적 미술사》시리즈를 총망라함과 동시에, ‘여백의 종이’에 주목한 ‘오각형‘ 연작이 새롭게 소개된다.
오각형 연작은 다이어그램, 산수도 등의 작업을 위해 원화 속에서 필요한 형상을 오려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여백을 소재로 삼은 시리즈로, 단순히 빈 공간이 아니라, 이미 형상을 내포하고 있는 주체적인 존재로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통계학적 미술사는 사라지는 아름다움에 대한 향수가 아니라, 오히려 시대의 미술적 감각과 취향이 어떻게 소비되고 소멸해왔는지를 통계처럼 보여준다. 잊혀진 이미지들의 서사와 그 조각들을 엮어내며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작가의 시선을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다이어그램 & 어마산수

다이어그램 25-1 2025
수집된 동양화 콜라주_120 x 120cm
[다이어그램과 어마산수] 시리즈는 전통 동양화 이미지의 구조를 해체하고 재조합함으로써, 익숙하지만 낯선 흐름을 보여준다. 수집된 이미지 조각들은 화면 위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충돌하며, 통계처럼 축적된 시각적 데이터로 작동한다. 그렇게 수집된 그림들은 작가의 시선 아래 데이터처럼 분류되고 배열되며 설계되었다.
2. 오각형

[오각형] 시리즈는 다이어그램, 산수도 등의 작업을 위해 원화의 이미지들을 오려낸 틈 사이 빈 형상들, 즉 그림의 배경이자 동시에 중심이었지만, 그 기능을 잃고 남겨진 여백에 주목하였다.
여백이 그저 비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형상을 내포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빈 여백을 전면으로 가져왔다.
남은 종이 위에 여백 종이를 겹쳐 선을 따라 자르며, 틀을 다시 맞춰 붙이는 작업을 통해 조각난 단서들로부터 사라진 전체를 복원하려는 행위로, 과거의 흔적 위에 겹쳐 쌓이는 시간의 층위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오각형 25-3 2025
수집된 동양화 콜라주
98 x 92cm
3. 표본
[표본] 시리즈는 형상도 어떤 이미지도 없는, 작업 과정에서 남은 작은 이미지 파편을 모자이크처럼 배열한 작업이다.
'통계학적 미술사》시리즈의 마지막 단계로, 수집된 이미지가 전부 작업에 소진되고, 원작들에서 발생한 그 어떤 잔여물도
남기지 않으려는 작가의 태도가 담겨있다. 의미를 잃고 버려졌던 이미지들이 다시 쓰이는 그 마지막 순간까지도 망각되거나 소외되는 가치가 없도록 하려는 의지가 관통하는 작업이다.
.jpg)
표본 25-1 2025
수집된 동양화 콜라쥬
17 x 24cm (수집된 액자포함 30.5x41cm)

표본 4 2024
수집된 동양화 콜라쥬
56.5 x 56.5cm
4. 복제

[복제] 시리즈는 이번 개인전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작품으로, 원화 ‘백학도’ 속에서 오려낸 새의 형상으로 작업의 과정을 시각화하였다.
남은 종이 위에 다시 종이를 겹쳐 선을 따라 오려내는 방법으로, 작가가 명명한 ‘겹침 칼질’이 반복되면서, 새의 형상은 점차 뭉개지고 변화된다.
오려내고 붙여진 형상들을 순차적으로 겹쳐갔다. 개별 작품들이 하나의 흐름처럼 이어진다. 복제와 창작의 경계를 보여주는 실험적 시도다.
복제 25-2 2025
수집된 동양화 콜라주
가변설치
Exhibition view



